[Spring] 스프링이 주기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스프링(Spring)은 자바 개발에서 널리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이다. 의존성 주입(Dependenct Injection)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며,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더 모듈화하고 유연하게 만들수 있도록 한다. 그렇다면 이때, 스프링이 주기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무엇일까? 의존성 주입 컨테이너 (Dependency Injection Container) : 스프링의 핵심은 의존성 주입(DI) 이다. DI Container는 객체 간의 의존성을 관리하고, 필요한 의존성을 주입하는 역할을 하는데, 스프링은 이를 통해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을 유지하며 객체 간의 의존성을 제어한다.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 AOP는 스프링의 또 다른 핵심 개념 중 하나라.. [Spring] 스프링 부트에서 auto-configuration을 비활성화하는 방법 Spring Boot는 자동구성(Auto-Configuration)기능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구축하고 시작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때로는 특정 모듈의 자동 구성이 원치 않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럴때는 해당 자동 구성을 비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의 Exclude 속성 사용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클래스를 정의할 때, exclude 속성을 사용하여 특정 자동구성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SpringBootApplication(exclude = {SomeAutoConfiguration.class}) public class MyApplication { public static vo..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