썸네일 [자격증] 5일만에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원패스 후기 /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 취득 ꉂꉂ(ᵔᗜᵔ*) 3월 9일, 16일 연달아 시험 신청해놓은 과거의 나... (왜 그랬니,,)과거엔 충분히 여유롭게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공부를 미루고 미루다가 SQLD 끝나고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시험이 뭔지도 모른채 있다가 딱 5일 공부했다.  일단 결과는 다행히도 합격!!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이 부족했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모든 부분을 볼 수 있도록 공부했다.  기사퍼스트 -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강의 필기 때에도 도움을 받았었던 기사퍼스트의 강의를 통해 실기 기본을 공부했다다른 개념 강의도 들어봤지만 기사퍼스트 강의가 제일 이해가 잘 되도록 설명하시는 편이라 좋다.  강의를 통해 기본 개념을 모두 공부한 후, 전에 사 두었던 문제집을 통해 문제를 풀었다. 기본 개념같은 경우에는 모든 개념을 암기해 백지에 ..
썸네일 [Spring] 애플리케이션의 복원력을 높이는 방법 Spring 애플리케이션 복원력을 높여야 하는 이유 애플리케이션의 복원력을 높이는 이유는 사용자 경험의 개선, 시스템 안전성 보장, 비용 절감, 기업의 신뢰도 유지 등이 포함된다. 1. 사용자 경험의 개선 : 애플리케이션의 복원력이 높을수록 사용자는 서비스 중단이나 장애로 인한 불편을 경험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사용자들이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재방문률을 높일 수 있다. 2. 시스템 안전성 보장 : 장애가 발생했을 시 빠르게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은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온라인 비즈니스나 금융 서비스와 같이 시스템의 가용성이 중요한 업종에서는 장애에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비즈니스의 생존과 직결될 수 있다. 3. 비용 절감 : 장애가 ..
썸네일 [기본 지식] Node.js란? 요즘 트랜드를 분석하기 위해 공고를 보다가 백엔드 개발자의 필수 스킬 중 "Node.js" 에 대해 너무 많이 봤다. 그래서, Node.js 가 도대체 뭔데? 하고 너무 궁금해서 찾아봤다. Node.js의 공식 홈페이지 에 따르면,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이다. 라고 정의하고 있지만, 사실 뭔 뜻인지 모르겠다... 정의는 뒤로하고, Node.js로 서버를 만들수 있는데 왜 ? Node.js로 서버를 만드는지에 대해 분석하며, 조금 이 Node.js 에 대해 알게 되었다. 왜 ? Node.js로 서버를 만들까? 우리는 서비스를 구현할 때 대용량 트래픽을 자주 경험하게 된다. 수많은 고객의 요청을 한 번에 받아 거의 동시에, 즉 순서와 ..
썸네일 [spring boot] Spring Boot 시작하기 앞서 적었던 spring 과 spring boot 의 차이점에 대해 적어보면서 Spring Boot 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spring] Spring 과 Spring Boot 의 차이 'Java'의 대표적인 백엔드 개발 프레임워크(Framework)인 "spring"과 "spring boot" 그래서 그게 뭔 차이인건데? 였던 초기 내 궁금증을 위해 정리했던 내용이다. Spring spring(= spring framework) 은 Java 기반 애플 nyung1127.tistory.com 그래서 Spring Boot는 어떻게 쓰는건데? 하는 다음 궁금증을 해결 ☀️ Spring Initializr 접속하기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는 "웹사이트"를 통해서 만들수 있다. 주로 프레임워크들..
썸네일 백엔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로드맵 프로젝트/포트폴리오 만들기 개발자 프로젝트, 포트폴리오가 처음인 경우 어떤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다. 나도 첫 프로젝트를 만들 땐 주제를 선정하는 것 조차 막막하고 어려웠다. 이에 내가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서 + 얻은 인사이트들을 통해 정리한 프로젝트 만드는 순서다. ✔️ 프로젝트 만드는 방법 서비스 주제 정하기 더보기 -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 등 유심히 보고, 인기있는 앱 또는 어떤 서비스가 필요한 지 생각해보기 - 그 중 내가 만들어보고 싶은 주제 정하기 (우수한 레퍼런스를 참고해서 디벨롭 시키기) - 일상에서 불편한 부분을 좀 더 생각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면 좋을지 생각하기 기능 정리 : 정한 주제에 대한 필요한 기능 정리하기 _> 기능에 대해 자세하게 생각해보기..
썸네일 개발자에게 클린코드가 중요한 이유 클린 코드(Clean Code)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말 그대로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동작을 보장하는 것 뿐 아니라 코드 자체가 가독성이 뛰어나고 유지보수가 쉽도록 작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클린코드를 작성하지 않게 되면 1.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2. 오류를 발견한 후에도 수정이 어렵다 3. 개발 속도를 늦춘다 따라서 당연하게도, 팀 전체와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할 수 있다. 클린코드의 주요 원칙 1. 의미 있는 변수와 함수 사용하기 코드가 길어지고 점점 많아지게 되면 변수와 함수의 이름이 수도 없이 많다. 이때, 이 함수와 변수는 사용 문맥에 맞게 정확하게 명명되어야 한다. 2. 가독성 조은 코드 만들기 코드는 나 뿐만 아니..
썸네일 2024 기준 신입 개발자를 위한 백엔드 로드맵 / 2. 백엔드 개발자의 업무, 3. 백엔드 아키텍처 2. 백엔드 개발자의 업무 [주된 업무 :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 개발] 백엔드 개발자의 개발 순서 1. 과제 할당 2. 과제 분석 3. 개발 4. 테스트 (리뷰) 5. QA 및 버그 수정 6. 배포 7. 유지보수 3. 백엔드 아키텍처 오늘날의 서비스는 계획을 잘 세워 코딩을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계획을 작성하는 사람을 아키텍트 라고 하고, 그 계획을 아키텍처 라고 합니다. 즉, 총체적이고 종합적이고 상세하게 개발을 준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발자라면 아키텍처를 알고 있는 편이 좋습니다. 백엔드 프로그래머라면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좋을 아키텍처는 패턴 중 자주 사용하는 계층형 아키텍처,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등이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대부분 이 3가지의 조합으..
썸네일 2024 기준 신입 개발자를 위한 백엔드 로드맵 /1. 백엔드 개발자가 알아야 하는것 전에는 자바, JSP, SQL만 알아도 백엔드 개발자가 될 수 있었던 반면, 지금 신입 백엔드 개발자로서 취업을 하려면 알아야 하는 지식이 너무 많다. 1. 백엔드 개발자가 알아야 하는 것 백엔드는 "시스템의 뒷단(=백엔드)"을 의미한다 즉, 쉽게 말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 이에 대한 검증을 어디선가 해주고, 그 정보를 유지시켜주는 인증하는 작업 따라서 백엔드 개발자는 클라이언트(앱, 브라우저 등)의 프론트엔드 영역의 요청을 컴퓨터가 수행하도록 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요청을 보낸다. 이때 미리 정해놓은 프로토콜(=네트워크)을 사용한다. 이 프로토콜에는 HTTP, TCP/UDP, 라우팅, NAT, OSI7계층 등 정말 많지만, 그 중 백엔드 개발자라면 HTTP프로토콜에 ..
썸네일 [ORACLE] 내장함수 내장함수 더보기 내장함수란 CREATE FUNCTION 기능을 통해 만든 함수가 아닌 ORACLE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함수를 말한다. 상황에 따라 하나는 단일행 함수(문자 함수) 다른 하나는 그룹함수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내장함수 종류 1. 그룹함수 - COUNT : 데이터 갯수 조회 EX) SELECT COUNT(*) FROM BOOK; - SUM : 데이터 합계값 구하기 EX) SELECT SUM(PRICE) FROM BOOK; - AVG : 데이터 평균값 구하기 EX) SELECT AVG(PRICE) FROM BOOK; - MAX : 데이터 최대값 구하기 EX) SELECT MAX(PRICE) FROM BOOK; - MIN : 데이터 최소값 구하기 EX) SELECT MIN(PRICE) FR..
썸네일 [국비] JAVA 개발자 양성과정 비전공자 100% 수료 후기 어느덧 국비 5개월이 지나고 무사히 수료 완료! 이제는 기억도 가물가물한 첫 날 귀여운 웰컴 키트와 두꺼운 책,, 선착순이라는 후기 보고 8시 부터 가서 자리 선택했다 사실 내가 1등일줄 알았는데 3등이어서 놀랬던 첫날 역시 한국 사람들,, 부지런해ㅜ 🐣 국비 학원 선택 먼저 국비를 시작하기 전 나는 개발쪽은 아예 생각 하지도 않았었던 사람이었다. 단순히 국비라는 좋은 제도를 알게 되어서 "어떤 쪽을 국비로 배워볼까" 라는 막연한 생각에서부터 시작해서 영상편집 쪽 배우려고 생각했었는데,, 국비 상담 받으러 갔던 한 컴퓨터 학원에서 코딩 쪽을 배워보는건 어떠냐는 의견으로 갑자기 시작된 인연이었다. 그 이후로 개발자 라는 직업에 대해 고민해보게 되었고, 국비 상담 다닌 학원만 20군데 정도,,? 그 중, 정..